|
||
뮤지컬 캣츠, 국내에는 바바라 스트라이샌드등 많은 뮤지션들에게 리메이크된 [Memory]라는 곡으로 유명하다. 극중 그리자벨라
자신의 추억을 노래한 곡으로 심금을 울리는 장면 연출이 매우 뛰어나다. 뮤지컬 캣츠는 지난 여름 태풍 “매미”의 영향으로 오랜 공백을
가졌지만, 성공적인 한국 투어를 진행해왔다. 필자는 뮤지컬의 종연을 몇일 앞두고, 서울 종합 경기장 내 위치한 빅탑시어터를 찾았다. 전용 극장인 이동식 천막 앞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해가 지기 시작했고, 2월의 바람도 여전히 세차게 불었다. 바깥과는 달리 공연장 안은 활기로 가득 차 있었으며, 공연 시작을 두어 시간 앞둔 바쁜 가운데에서도 송 대영 음향 감독이 반갑게 맞아 주었다. 전화상으로도 느꼈던 부분이었지만, 매우 포근하고 편안한 인상을 가졌다. 간단한 인사를 나누고, 필자는 무대 뒤쪽에 위치한 밴드의 컨테이너로 안내되었다. 화려한 무대와 조명과는 대조적으로 무대 뒷편에 위치한 좁은 컨테이너 박스 안에 밴드를 위한 연주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송 감독의 부연설명에 의하면, 뮤지컬 캣츠는 초연되던 때부터 무대 세트와 라이브 연주 공간을 분리해 상연했다고 한다. 무대를 직접 볼 수 없는 연주자들의 환경이 무척 낯설게 느껴졌다. |
||
![]() |
||
컨테이너에 들어서면 먼저 2단 스탠드에 놓여진 두 대의 Roland Fantom 신서사이저가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그 옆으로
2단 스탠드의 아래에 Roland RD-700 스테이지 피아노와 그 위로 또 하나의 Fantom 신서사이저가 설치되어 있다. 자그마치
3대의 Fantom 신서사이저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 그 뒤로는 Roland V-Drums인 TD-10 키트가 설치되어 있다. 충분한
연주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환경에서, V-Drums의 선택은 필연적인 것이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
||
![]() |
||
컨테이너 안에서 뭔가에 열심히 집중해 있던 음악 디렉터 Vanessa Scammell을 만났다. 다소 상기된 표정의 그녀에게
몇 가지 질문을 해보았다. Q : 언제부터 뮤지컬 캣츠와 함께 일하셨는지요? Q : 모니터 화면을 통해 무대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불편한 점은 없나요? Q : Roland RD-700 스테이지 피아노 사운드에 대해 말씀해 주시죠. Q : SRX-시리즈 웨이브 익스팬션 보드도 사용하고 계신가요? Q : 너무나도 유명한 곡인 [Memory]에서는 어떤 사운드가 사용되고 있나요? |
||
![]() |
||
Q : Roland 사운드는 라이브에서 약하다라는 평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죠? 송 : 글쎄요. 아마도 그것은 뮤지션들이 느끼는 감각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음향 엔지니어에게 있어서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악기의 브랜드마다 저마다의 특성이 있는 것은 당연하고, 그러한 특성을 잘 파악해 음악에 맞게 승화시킨다면 레코딩이던 라이브이던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Q : 콘솔에서 Roland Fantom,
RD-700 그리고 V-Drums TD-10의 소스 채널에 EQ나 특별한 이펙트를 사용하고 있는지요? Q : 이번 뮤지컬 캣츠를 통해 느끼신 점이 있다면? 다시 한번 필자를 뮤지컬 캣츠에 초대해 주신 송 대영 음향 감독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공연 문화 발전을 위해 힘써
주실 것을 바란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