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주자 소개
피아니스트 이옥희는 1962년 서울대학교음악대학 제17회 정기연주회의 협연자로 무대에 선 이래 40여년을 연주가로 무대를 지켜오고 있다. 서울음대 졸업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을 마치고 국내에 귀국 중앙대학교 대학원 졸업하였고, 다시 독일 쾰른 국립음대에서 수학하였다.
피아니스트 이옥희는 특히 앙상블과 쳄발로 연구에 열정을 쏟은 그는 오랜동안 KBS교향악단, 국립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전임 피아니스트로 있으면서 실내악 운동의 선두주자로 다양한 레파토리를 무대에 올렸다.
연주가로서 이옥희는 에너지가 넘쳐흐르는 강힌 타력으로 대형 피아니스트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거니와 음악에 대한 학구적 접근은 그의 연주에 대한 믿음을 더하게 한다. 이옥희의 전반기 활동이 KBS교향악단, 국립교향악단, 서울시립교향악단등과의 협연, 그리고 독주 무대가 중심이었다면 새로운 실내악 운동을 전문적으로 펼치기 위해 1988년 창단하고 음악감독을 맡은 서울 튜티 앙상블은 후반기 활동의 중심 무대로 완성도 높은 실내악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그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서울 튜티 앙상블은 모든 실내악 장르를 수용하며 언제나 새로운 무대를 만듦으로서 실내악 매니아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프로그램 중 피아노의 경우는 이옥희 자신이 모두 소화해 앙상블 활동의 중심에 서 있다.
또한 연륜과 더불어 이옥희의 음악사랑은 연주뿐만 아니라 후진들을 위한 범 음악계 활동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는데 한국음악협회 수석부이사장으로서 국제회의 참가는 물론 음악협회 차원의 새로운 개발과 후진을 위한 길을 개척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이옥희의 학구적 열정을 볼 수 있는 또 한가지는 2004년 12월 19일 드보르작 서거 100주년 음악회를 가지면서 우리나라 초연인 드보르작의 피아노 협주곡을 서울 튜티 오케스트라와 함께 협연 한 것이다.나이를 잊고 사는 이옥희의 한 모습이었다. 이 모든 것은 이옥희만이 할 수 있는 것이라 믿는다.
금번 모차르트 소나타 전곡 시리즈는 모차르트 탄생 250주년을 맞이하여 진행되고 있는 서울튜티앙상블의 기획의도와 호흡을 같이하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4회에 걸쳐 소나타 전곡을 연주하기로 하였다.
3. 프로그램
W. A. Mozart (1756-1791)
Sonata in Bb Major, K.333
Sonata in bb minor, K.400
Sonata in F Major, K.533/494
Intermission
Fantasy in c minor, K.475
Sonata in c minor, K.457 |